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

패션의 구매 결정 및 정보 처리 과정 소비자들은 구매 후 제품을 사용하면서 만족 혹은 불만족을 경험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재구매를 결정하게 된다. 제품에 대한 만족과 불만족은 구매 전 소비자의 기대와 제품을 보고 지각된 성과와의 관계에 의해 결정된다. 제품의 성과가 기대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면 불만족을 느낄 것이고, 기대 수준보다 높으면 만족할 것이다. 만족과 불만족은 소비자의 기억 속에 저장되며, 다음의 구매와 타인의 구매에 긍정적인 영향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소비자들은 구매 후 자신의 구매 결정에 대한 심리적인 불안감을 가지게 된다. 즉, 선택한 대안이 선택하지 않은 대안보다 더 나은 것인지에 대한 불안감을 가지는데 이것을 인지적 부조화라고 한다. 인지적 부조화는 심리적인 긴장감을 발생하게 하므로 소비자들은 선택한 대안에 .. 2022. 10. 7.
패션 산업의 특성 패션 산업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가가치 산업이다. 상품의 부가가치란 물리적 효용가치에 부가된 심리적 효용가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품의 가격에서 원료가 차지하는 비율이 낮을 때 부가가치가 높다고 한다. 패션 산업은 상품이 지니고 있는 물리적 가치뿐 아니라 상품 외적인 가치, 즉 심리적 가치를 창조하는 산업으로 심리적 효용 가치는 패션 이미지, 패션 리더쉽, 브랜드 이미지, 판매 방법과 서비스, 상품 구성 등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패션 상품은 새로움, 스타일, 아름다움, 사회적 수용, 자기만족, 신분 상징성 등의 심리적 기준에 따라 선택이 결정된다. 둘째, 정보 산업이다. 패션 산업은 패션 정보의 긴급 입수와 입수된 정보의 정확한 분석 및 활용은 패션 산업의 성패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2022. 10. 6.
패션 스타일의 예측 및 개념 패션 스타일을 예측하기 위해 필요한 인식의 내용은 사회 환경과 소비자에 대한 인식, 그리고 새로운 패션 경향에 대한 인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회 환경이 변화하면 소비자가 변화하고 패션도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패션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사회환경, 즉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그리고 기술적 변화와 이에 따른 소비자 의식과 라이프 스타일, 취향 등의 변화를 인식하고 판단하는 통찰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또한 매 시즌 소개되는 수많은 혁신적인 스타일 중 어떤 것이 새로운 패션으로 자리 잡을 것인가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하며, 각 의류업체의 표적시장이 되는 소비자에 따라 새로운 패션 경향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즉, 문화적 배경에 근거한 미의식, 도덕과.. 2022. 10. 6.
패션의 사회적 가치관 사회 구성원들이 가진 도덕관념, 가치관 등은 의복 형태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에 맞는 의복을 착용하게 한다. 1960년대에 유행했던 미니스커트나 핫팬츠, 70년대의 수영복과 속이 비치는 시스루룩은 풍요한 물질 속에 성장한 전후 세대의 새로운 가치관 등의 사고가 의복에 표현되었던 예로 볼 수 있으며, 히피족의 스타일은 그들의 기존 가치체계에 대한 도전을 의복으로 표현한 것이다. 사회적 관심의 대상이 되는 사건이나 인물도 의복 형태에 영향을 미친다. 1960년대의 미국의 흑인 민권운동은 아프리카 복식, 아프로 헤어스타일 등의 유행을 가져왔으며, 여성해방운동은 팬츠 슈트를 유행시켰다. 1990년대에 들어 늘어나는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과 자연보호운동의 확산은 천연섬유의 직물과 자연을 모티브로 하는 무늬를 이용한.. 2022. 10. 5.